본문 바로가기

친환경 에너지

수소 기반 항공기 개발 현황과 과제

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항공기는 항공 산업에서 탈탄소화를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 항공기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이 많아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소 연료 항공기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현재 주요 항공기 제조사와 연구 기관이 다양한 수소 기반 항공기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1. 수소 기반 항공기의 개발 현황

(1) 에어버스의 ZEROe 프로젝트

  • 개요: 에어버스는 2035년까지 세계 최초의 수소 상용 항공기를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ZEROe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개발 모델:
    1. 터보팬 디자인: 최대 200명의 승객을 태우고 약 2,000해리(약 3,700km)를 비행할 수 있는 중거리 항공기.
    2. 터보프롭 디자인: 약 100명의 승객을 태우고 1,000해리(약 1,850km)를 비행할 수 있는 소형 항공기.
    3. 블렌디드 윙 바디(Blended-Wing Body):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중앙에 수소 저장 탱크를 통합하여 높은 연료 효율성을 제공.
  • 현황: 에어버스는 수소 연료전지와 액화 수소 저장 기술을 테스트 중이며, 2020년 개념 설계를 공개했습니다.

(2) 보잉의 수소 항공기 연구

  • 보잉은 수소를 장기적인 대안으로 보고 있으며, 초기 단계에서는 재생 가능한 연료(SAF)와 수소의 혼합 기술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EcoDemonstrator 프로그램을 통해 수소 연료전지와 관련된 실험을 진행.

(3) 유럽연합의 Clean Aviation 프로젝트

  • 유럽연합은 Clean Aviation 프로젝트를 통해 항공기의 수소 연료 사용을 지원하고,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주요 목표는 배터리 기반 기술과 수소 연료전지를 혼합한 하이브리드 항공기 개발.

(4) 일본과 미국의 스타트업

  • 일본의 도요타는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항공 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 중이며, 미국의 스타트업 **유니버설 하이드로젠(Universal Hydrogen)**은 수소 모듈을 활용해 기존 항공기를 개조하는 방식을 개발 중입니다.

2. 수소 기반 항공기의 주요 기술적 과제

  1. 액화 수소 저장 및 관리
    • 수소를 항공기 연료로 사용하려면 초저온(약 -253°C) 상태에서 액화해 저장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효율적이고 안전한 저장 탱크 설계가 필요합니다.
    • 항공기 내부 공간 제약 때문에 높은 밀도의 수소 저장 기술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2. 항공기의 설계 변화
    • 수소는 기존의 항공 연료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에 항공기의 설계에 큰 변화가 요구됩니다.
    • 날개 또는 동체에 수소 탱크를 통합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있지만, 무게와 안정성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3. 인프라 구축
    • 공항에서 수소를 저장, 충전, 공급하는 인프라가 현재 거의 없으며, 전 세계적인 구축이 필요합니다.
    • 수소 생산과 운송도 탈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4. 안전성 확보
    • 수소는 높은 인화성을 가지므로, 항공기 사고 시 폭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기술이 중요합니다.
  5. 경제성
    • 수소 기반 항공기의 개발과 운영 비용은 기존 항공기에 비해 높습니다. 초기 개발 비용과 인프라 투자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3. 수소 기반 항공기의 전망

(1) 기술 발전의 가능성

  • 연료전지 기술의 발전과 액화 수소 저장 기술이 성숙하면 수소 항공기의 상용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하이브리드 방식(배터리와 수소 연료전지 결합)도 단거리 및 중거리 항공기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2) 시장 성장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https://www.iata.org/)는 항공 부문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소 항공기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2030년대 중반부터는 단거리 및 중거리 상업 항공기 시장에서 수소 항공기가 점차 자리를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글로벌 협력

  • 유럽연합, 미국, 일본,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이 수소 항공기의 개발을 위해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기술 표준화와 인프라 공동 구축이 중요합니다.

결론: 수소 항공기의 미래

수소 기반 항공기는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에어버스의 ZEROe 프로젝트와 같은 선도적인 연구는 항공 산업의 탈탄소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적 과제와 인프라 구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초기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상용화에 성공한다면, 수소 항공기는 항공 산업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